전체 글 (83)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 안 하는 날’이 더 피곤한 이유 일정을 다 끝낸 날,혹은 애초에 아무 스케줄도 없는 날.누군가는 “푹 쉬었겠다”라고 말하지만,이상하게 더 피곤하다.몸은 쉬었지만, 마음은 하루 종일 일하고 있었던 것 같다. 1. 일이 없는 날, 정말 쉰 걸까?프리랜서의 일정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어떤 날은 정말 아무 일도 없다. 그럴 땐 ‘쉰다’는 말이 맞기도 하다.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건 물리적인 쉼이지, 감정적인 쉼은 아니다.오늘 하루가 아무것도 없는 게 불안하다뭔가를 해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이러다 진짜 아무 일도 안 생기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그래서 아무것도 하지 않은 날인데도 밤이 되면 온몸이 축 처진다. 아무리 쉬었어도,“오늘 괜찮았어?”라는 질문에망설이게 되는 날이 있다. 2. 쉬는 날에도 계속되는 감정 노동단순히 ‘놀아.. “요즘 뭐 해?”라는 말이 가장 어려운 이유 “요즘 뭐 해?”누구나 가볍게 묻지만,프리랜서인 나는 이 말이 가장 어렵다.하고 있는 게 없어서가 아니라,설명할 수 없는 게 너무 많아서.그래서 어떤 날엔, 그냥 아무 말도 하기 싫어진다. 1. 인사처럼 던져진 말에 마음이 멈출 때“요즘 뭐 해?” “요즘은 잘 지내?” “바쁘지?” 다들 그냥 안부로 묻는 말일 텐데, 이 질문은 이상하게 나의 현재를 증명해야 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프리랜서는 늘 정해진 직함도, 확정된 스케줄도 없이 살아간다. 무언가를 하고 있지만, 그게 결과물로 보이지 않으면 ‘아무것도 안 하는 사람’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나도 모르게 대답을 머뭇거린다.“음… 그냥 이것저것 준비 중이에요.”“좀 쉬고 있어요.”“계획 세우는 중이에요.” 이 말들을 내뱉고 나면 어쩐지 마음이 무겁다. .. 넌 시간 많아서 좋겠다? “요즘 한가하죠? 좋겠어요~” 가볍게 웃으며 건네는 이 말 한마디가 어쩐지 마음을 콕 찌른다. 그냥 인사겠지, 별뜻 없겠지 하면서도 “그렇죠~” 하고 넘기고 나면 어딘가 모르게 씁쓸하다. 정말 난 한가한 걸까? 아니면… 1. 시간 많다는 말은 칭찬일까, 핀잔일까?프리랜서를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는 “넌 시간 많아서 좋겠다.” 말은 가볍지만, 그 속엔 무게가 있다. 한 번은 이런 경험도 있었다. 오랜만에 친구들과 연락이 닿아 “요즘 뭐 해?”라는 질문에 솔직히 “딱히 바쁜 건 아니야”라고 답했다. 그 순간 흐르는 미묘한 공기. 바로 이어진 말은 이거였다.“그래도 너는 시간 많아서 좋겠다.하고 싶은 거 다 하고 살잖아.” 그 말은 그저 인사였을까? 아니면… 보이지 않는 비교와 평가였을까? 그날.. 웃고 있지만 마음은 불안하다 일이 없는 날, 나는 웃고 있지만 마음은 무겁다.프리랜서라는 이름이 주는 자유로움 뒤에는아무도 모르게 지쳐가는 감정이 숨어 있다.그 감정은 말보다 먼저 얼굴에 떠오르고,표정은 나도 모르게 진심을 말해버린다.오늘도 “괜찮아요”라는 말 뒤에 감춰진 표정 한 조각을 이야기해 본다. 1. 말보다 먼저 드러나는 건 ‘표정’이다사람들은 보통 “괜찮아요”라는 말을 쉽게 내뱉는다. 그러나 그 말이 진심이 아닐 수 있다는 건, 우리 모두 어렴풋이 알고 있다. 특히 프리랜서처럼 스케줄이 유동적인 사람들은 말과 표정 사이의 간극이 더 자주 드러난다. 누군가가 “요즘 어때요?”라고 물을 때, “잘 지내요”라고 대답하는 동시에 입꼬리는 올라가 있지만 눈가가 무표정하거나 짧은 한숨이 먼저 나온다면, 그건 몸보다 먼저 감정이 드러.. 처음 만난 사람의 신뢰감을 얻는 전략 말보다 먼저 작동하는 건 얼굴이다 사람들은 생각보다 말을 잘 기억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처음 마주한 얼굴과 그때 느낀 분위기가 더 오래 남는 경우가 많죠. 누군가를 처음 만났을 때 "믿음직해 보인다", 또는 "왠지 불편하다"는 느낌은 대부분 비언어적인 요소, 즉 표정, 눈빛, 몸짓, 말투 같은 비언어적 신호에서 비롯됩니다. 심리학자 앨버트 메러비 언(Albert Mehrabian)의 연구에 따르면, 첫인상에서 말의 내용은 단 7%의 영향력만을 가집니다. 나머지 93%는 목소리의 톤, 말의 속도, 그리고 무엇보다도 표정과 제스처, 시선 같은 비언어적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합니다. 결국 사람들은 ‘무엇을 말했는가’보다 ‘어떤 느낌을 줬는가’를 더 강하게 기억하게 되는 셈입니다. 1. 신뢰는 ‘예측 가능성’.. 처음 보는 사람의 얼굴에서 경계심을 읽는 방법 누군가를 처음 만났을 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는데도 우리는 그 사람의 분위기에서 ‘편안함’ 혹은 ‘거리감’을 빠르게 감지하곤 한다. 이 느낌은 대개 말이나 행동보다 먼저, 얼굴 표정에서 시작된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타인을 관찰하고, 안전한 사람인지 아닌지를 빠르게 판단하려 한다. 그중에서도 ‘경계심’이라는 감정은 얼굴에서 쉽게 드러나는 감정 중 하나다. 1. 경계심은 본능이다 ― 낯선 얼굴 앞에서 표정이 굳는 이유누군가를 처음 마주했을 때, 우리 뇌는 "이 사람이 나에게 위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무의식적으로 던진다. 이때 작동하는 심리 반응이 바로 사회적 경계다. 사회적 경계란, 낯선 환경에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본능적인 감정 조절 장치다. 이 감정은 의도적으로 만든 표정이 아니라, 자신도 모.. 아무 말도 안 했지만, 이미 들켰다 표정으로 드러나는 긴장감의 정체가만히 앉아 있었을 뿐인데, 누군가 “긴장하셨죠?”라고 묻는 순간, 당황해 본 적 있으신가요? 말도 행동도 하지 않았는데, 내 얼굴이 먼저 말해버렸다는 느낌, 그게 바로 긴장의 표정입니다. 사람은 감정을 감추려고 해도 '얼굴'만큼은 쉽게 속이지 못합니다. 특히 긴장이라는 감정은 본능에 가까운 반응이기 때문에 표정, 눈빛, 입술,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빠르게 드러납니다. 1. 긴장은 얼굴에서 가장 먼저 드러난다많은 사람들이 누군가와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상대의 감정을 먼저 얼굴에서 읽어냅니다. 그중에서도 ‘긴장’은 가장 빠르게 포착되는 감정 중 하나입니다. 긴장한 얼굴은 대체로 아래와 같은 신호들을 보여줍니다:눈동자가 바쁘게 움직이고 시선을 자주 돌린다입꼬리가 내려가거나,.. 왜 우리는 화면 속 '내 얼굴' 을 낯설어할까? 카메라 앞에서 어색해지는 이유요즘은 누구나 하루 한 번쯤은 셀카를 찍거나 영상통화를 하며 자신의 얼굴을 본다. 하지만 사진을 찍고 난 뒤, 혹은 영상 회의 화면을 본 뒤 “어… 이게 나야?” 하고 당황한 적, 혹시 있지 않으신가요? 심지어 "셀카 다시는 안 찍을래", "나는 카메라에 안 받는 얼굴이야" 이런 말을 하게 되는 경우도 많죠. 그런데 이 낯섦은 단순히 외모에 대한 불만 때문만은 아닙니다. 사실 우리가 거울로 보는 얼굴과 카메라에 비친 얼굴은 심리적으로 완전히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1. 거울 속 얼굴과 화면 속 얼굴은 다르다우리는 어릴 적부터 대부분 '거울'을 통해 내 얼굴을 인식해 왔습니다. 거울은 좌우가 반전되어 있고, 내가 익숙한 각도에서 “익숙하게 조절된 표정”을 보여주기 때문에 ..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