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정의 조각들

‘일 안 하는 날’이 더 피곤한 이유

일정을 다 끝낸 날,
혹은 애초에 아무 스케줄도 없는 날.

누군가는 “푹 쉬었겠다”라고 말하지만,
이상하게 더 피곤하다.

몸은 쉬었지만, 마음은 하루 종일 일하고 있었던 것 같다.

 

 

1. 일이 없는 날, 정말 쉰 걸까?

프리랜서의 일정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어떤 날은 정말 아무 일도 없다. 그럴 땐 ‘쉰다’는 말이 맞기도 하다.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건 물리적인 쉼이지, 감정적인 쉼은 아니다.

  • 오늘 하루가 아무것도 없는 게 불안하다
  • 뭔가를 해야 할 것 같은 압박감
  • “이러다 진짜 아무 일도 안 생기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

그래서 아무것도 하지 않은 날인데도 밤이 되면 온몸이 축 처진다.

 

아무리 쉬었어도,
“오늘 괜찮았어?”라는 질문에
망설이게 되는 날이 있다.

 

‘일 안 하는 날’이 더 피곤한 이유

2. 쉬는 날에도 계속되는 감정 노동

단순히 ‘놀아서 피곤한 것’이 아니다. 쉬는 날에도 머리는 계속 일한다.

  • 공모사업 일정 확인
  • 다음 기획 아이디어 고민
  • 연습해야 할 곡 리스트 정리
  • 메신저 창 들여다보다 말고 닫기
  • 사람들이 바쁘게 지내는 모습에 괜히 움찔하기

그러다 보면 하루 종일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도, 머릿속은 수십 가지 생각으로 쉴 틈이 없다. 그리고 그럴수록 “오늘 뭐 했지?” “왜 이렇게 시간만 갔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자책이 시작된다.

 

쉬는 날에도
불안, 비교, 자기 검열, 기대, 실망, 긴장감
그림자처럼 따라붙는다.

 

 

3. ‘쉬는 중에도 괜찮다’고 말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한 번은 이런 일이 있었다. 정말 아무 일정도 없는 날, 카페에서 책을 읽으며 오후를 보냈다. 그날 밤, 지인이 “오늘 뭐 했어?”라고 묻기에 “아무것도 안 하고 그냥 좀 쉬었어”라고 답했더니 이런 말이 돌아왔다.

“와, 그거 진짜 좋은 하루네.”
“그렇게 아무것도 안 하는 날, 너무 귀하지 않아?”

 

그 말 한마디에 마음이 놓였다. 누군가가 ‘쉬는 나’를 허락해 주는 느낌. 우리는 너무 자주 일을 해야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는 착각 속에 산다. 그래서 쉬는 날조차 ‘쉴 자격이 있는지’ 검열한다.

 

4.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연습

요즘 나는 이런 문장을 되뇌어본다.

“아무 일도 없는 하루를 보낸 것도 괜찮아.”
“일이 없어도 내가 사라지는 건 아니야.”
“오늘은 그냥 그런 날일 뿐이야.”

 

하루가 허무하게 흘러갔다고 느껴질 때, 그 시간을 무가치하게 취급하지 않기로 했다. 왜냐하면, 그건 분명히 불안과 싸우며 버틴 하루이기도 하니까. 우리는 자꾸 ‘일 = 가치’라고 믿는 세상에 길들여져 있다. 하지만 프리랜서의 시간은 더 유연하고, 더 복잡하다. 그래서 더 많이 흔들리고, 더 자주 스스로를 달래야 한다.

 

5. 내 안의 긴장감과 같이 사는 법

나는 아직도 쉬는 날을 완전히 편하게 받아들이지는 못한다. 그래도 이제는 조금 더 그 긴장감과 같이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중이다. 일이 없다고 해서 나의 의미가 줄어드는 건 아니고, 조용한 하루도 나라는 사람을 채우는 한 부분이라는 걸. 그래서 오늘도 이렇게 말해본다.

“오늘, 아무 일도 없었지만
마음이 조금 더 단단해졌다면
그걸로 괜찮은 하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