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표정

(2)
감정이 멈출 때 얼굴에서 벌어지는 뜻밖의 변화들 1. 감정이 멈췄을 때, 얼굴도 함께 멈춘다사람은 보통 강한 감정을 느낄 때 울거나, 웃거나, 화를 내며 이를 외적으로 표현한다. 그런데 반대로, 감정이 극도로 압도되거나 마비되는 상황에서는 놀랍게도 아무런 반응조차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람의 얼굴은 멍하니 굳어 있고, 표정 근육은 움직이지 않으며, 눈빛마저 흐려진다.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사고 소식을 들었을 때 혹은 감당할 수 없는 충격적인 말을 들었을 때, 우리는 표정이 ‘멈춘’ 듯한 상태에 빠지곤 한다. 이는 단순한 ‘무표정’이 아니라, 뇌가 감정 폭발로 인한 심리적 붕괴를 막기 위해 감정 반응을 잠시 차단하는 보호 작용이다. 겉보기에는 아무렇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내면에서 큰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2. 표정..
감정이 많을수록 표정이 사라진다 : 무표정 속의 진짜 감정 1. 표정이 없다는 건 감정이 없는 게 아니다누군가 말이 없고, 얼굴에 변화가 없을 때 우리는 흔히 "감정이 없다"라고 느낀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인 경우가 많다. 감정이 지나치게 많을 때, 오히려 얼굴은 정지된 듯한 상태로 굳는다. 놀람, 당황, 분노, 서운함, 눈물 같은 복잡한 감정이 동시에 몰려올 경우, 뇌는 이를 하나의 감정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표정 시스템을 잠시 ‘꺼버리는’ 반응을 보인다. 이 무표정은 무관심이 아니라, 감정을 안으로 삼키고 있는 상태다. 말을 잃었을 때보다, 표정을 잃었을 때가 더 무서운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2. 표정이 사라질 때, 감정은 안으로 내려간다감정은 표현되지 못하면 몸 안에서 응축된 형태로 남는다. 슬픈데 울 수 없고, 화가 나도 참아야 할 때 사람은 ..